주요 연구분야 SPECIALIZED FIELDS
본 연구원이 추구하는 핵심적인 방향은 미래사회 변화에 지속적으로 건전하게 순응할 수 있는 세 차원의 Symbiotic Living 으로 하며, 이는 인간의 생태계와 기술문명과 조화롭게 공생하는 삶의 기술로서, 인문사회 자연과학을 기반으로 총체적 건강을 지향하는 응용학문의 생활 친화적 주제를 연구분야로 한다.
- Symbiotic living with human (People, neighbor, user, residents, consumer 등)
- Symbiotic living with nature (natural technology, green growth, sustainable environment 등)
- Symbiotic living with technology (각종 IT 및 ICT기술, 네트워크 기술, 로봇, 유비쿼터스 등)

장기발전계획 LONG-TERM PLANS
본 연구원은 공생하는 삶의 기술(Symbiotic Life) 융합학문 분야에서 세계적 연구기관으로 인정받는 것을 목표로 3단계 15년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공생이란 자연생태계, 인간사회 그리고 기술문명(로보트 등)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 제 1단계는 2015년, 제 2단계는 2022년, 제 3단계는 2027년으로 하여 각각 2012년부터 5년, 10년, 15년을 목표시점으로 선정하였다.
- 제 1단계 5년간은 이러한 장기적 비전을 성취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기간이 될 것으로, 그 목표를 연구 및 학술 진흥 부문, 교육개발 부문 및 산학협력사업 부분으로 구분하여, 상세한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요사업 PROJECTS
연구 사업 RESEARCH PROJECTS
연구 및 학술 진흥 부문에서는 국내 사회과학계, 노년학계, 생활과학계, 건축환경계, 디자인계 분야에서 “공생하는 삶의 기술” 에 관한 융합연구를 가장 활발히 하는 연구중심 기관으로 부각되게 하며, 그 학술적 기반을 구축하는 선도적 모델이 되게 한다. 연구논문발표실적은 참여교수 당 SCI급 논문을 포함하여 국제논문 게재 편수를 최고 현재의 수준보다 2배로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대형 정부/지자체과제와 기업체 산학협력과제를 유치하는데 전략적으로 필요한 테스트베드를 확보하여 운영해갈 것이다. 셋째, SCI급 학술지 「Journal of Symbiotic Living Science & Technology」를 발간하여 운영하고자 한다.
교육 사업 EDUCATION PROJECTS
교육개발부문에서 미래사회가 필요로 하는 융합형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 컨텐츠와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양성된 전문 인력이 그 역량을 발휘하고 산업에도 기여할 기회를 높이도록 취업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산학협력을 교과과정에 통합시켜 명실공이 “공생하는 삶의 기술” 부문 국내 선도적 벤치마킹 모델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미래사회에 대비한 독창적인 인력양성 모델이 되게 한다. 이를 위해 고령친화산업학, 라이프스타일산업학, 사용자과학 등을 융합전공으로 발전시키낟. 이 전공은 본 사업의 종료시점에서는 최소 50% 영어강의, 외국인강사 50%, 외국인 학생 30%로 구성되어 글로벌사회 국제화 교육의 선도모형이 되도록 한다.
산학연계 사업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PROJECTS
산학협력사업은 대학이 미래 자율적으로 생존하기 위한 필수적 부가사업으로, 연구개발결과의 테스트베드가 될 수도 있고, 교육의 실제적 현장 실습장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발전기금을 축적할 수 있으며, 산학의 연계를 이어가고 확장하는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더욱이 고령화 사회 은퇴교수들이 지속적으로 전공지식을 지역사회에 봉사 기여할 수 있는 실제사업 현장이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벤처사업, 대학자율운영사업,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