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장 소개 RESEARCH CENTER

김혜영 교수
-Ph.D. 생명과학/생리활성영양, University of Rhode Island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겸직교수
연구센터 소개
국민건강의 유지와 선진국형 여러 질병의 예방에 기본이 되는 식품·영양과학 분야의 기초 및 응용연구의 활성화로 생명과학 발전에 기여하고, 한국인 식생활의 전통성 확립과 새로운 식품개발을 통하여 건전한 식생활 문화를 창출하며,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 분야의 연구를 통하여 관련 산업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발전을 도모한다.
국민 건강유지와 선진국형 여러 질병의 예방에 기본이 되는
- 식품영양 과학 분야의 기초 및 응용연구의 활성화로 생명과학 발전에 기여하고
- 한국인 식생활의 정통성 확립과 새로운 식품개발을 통하여 건전한 식생활 문화를 창출하며
-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 분야의 연구를 통하여 관련 산업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발전을 도모한다.
-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통해 21세기의 복지사회 건설에 공헌하고자 한다.
-1992년 3월 : 생활과학대학 내 식품영양과학 연구소 설립
-1996년 : ‘이공계 대학연구소 기자재첨단화 지원 대상 연구소’ 로 선정
-1997년, 1999년, 2000년, 2001년 : 첨단 연구 기자재 구입을 위한 국비 지원
-1997년, 1999년, 2001년, 2010년 : 교내 우수연구소로 평가
-2012년 : 심바이오틱 라이프텍 연구원 내 식품영양급식연구센터로 명칭 변경
주요 연구 MAIN RESEARCH
생리활성 영양학 (bioactive nutrition)과 영양 유전체학(nutrigenomics)은 생명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학문으로서 인간의 영양소 및 식이 성분의 체내 대사 조절의 효능을 예견하는 학문이다. 이는 식품영양학 뿐만이 아니라 유전체학, 생물 정보학, 의학이 결합된 신학문 분야이며, 과학 기술로서 주된 연구 영역은 개인의 유전적 소인에 따른 식이성분과 영양소 대사의 차이 및 영양소가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포함한다.
기능성 식품학 분야에서는 최근 급전진한 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기능성 물질의 선발, 양산, 발표, 정제, 활성 평가 등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영양유전체학의 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전통적 “약식동원” 의 지식을 근거 있는 건강 식품 개발로 발전시키는 연구와 식품 재료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리과학과 접목시킨 첨단 조리기구 개발과 건강조리법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는 건강 편의식, 맞춤형 치료식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 발전에 따른 급식/외식산업의 급팽창은 국민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센터의 급식경영 연구 분야에서는 급식산업의 품질경양선진화를 위하여 시스템적 접근을 통한 생산공정개선, 식품영양학적, 미생물적 품질 향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 분야의 산학연구를 통해 생산성지수 산출, 지적자본 측정 도구 개발, 품질관리모형 개발, 마케팅 전략수집 등의 주제로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고 최신 기법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한 구체적인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 1,2단계 BK21 핵심 향산화 영양 / 식품영양유전체사업 (교육부 지원)
- BK21 Plus 생리활성영양사업 (미래창조과학부 지원) http://bknutrition.yonsei.ac.kr
- 한식 세계화
- 한국인의 영양개선을 통한 건강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 래더링기법에 의한 한식당 이용 외국인 가치분석 및 외국인의 한식브랜드 이미지 분석
- 급식·외식업체 HACCP-based 위생관리 시스템 구축
- 급식생산 시스템 개발 및 급식·외식산업 품질경영 평가
비전 및 방향 VISION
본 연구 센터에서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식품영양 유전체 연구는 첨단 생명과학 기법을 도입하여 섭취한 영양소 및 식이성분의 체내 대사 조절의 기전과 질병과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하는 새로운 연구 분야이다. 이는 postgenome 시대의 근거 중심의 식품영양학 발전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첨단 연구 분야로서, 생애 전반에 걸친 건강 증진과 함께 인류의 건강 수명 연장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대사성, 퇴행성 질환들은 약물에 의한 치료 못지않게, 올바른 식생활 실천을 통한 예방 및 관리가 효과적임이 과학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핵가족화, 고령화 사회에서 필연저으로 일어나고 있는 가정식의 붕괴, fast food / 가공식품, 외식 의존도의 급증은 영양 취약 집단을 양산하고 있다. 이에 식생활 환경 변화에 따른 영양 취약 집단의 문제를 해결하고, 음식을 매개로 지역 주민의 자연스러운 소통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community kitchen model 구축 관련 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식생활 환경 조성을 함으로써,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선 추구의 바람직한 복지 사회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미래의 고부가가치 산어븡로 주목받고 있는 급식/외식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효율적인 품질 관리 시스템과 마케팅 전략을 연구한다. 또한 세계화 잠재력이 높은 국가 브랜드 상품인 한식의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하여, 효율적인 포지셔닝과 일관성 있는 한국 음식 문화에 대한 통합적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집 및 한식의 가치전달시스템 연구 등 관련 연구를 통하여 한식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림으로써 인류의 건강에 기여할 것이다.
주요 연구진 소개 MAIN MEMBERS
상임연구원
곽동경, 이종호, 김혜영, 이수복, 이승민, 함선옥
객원연구원
김동영, 김하영, 박문경, 백승희, 서정원, 손춘영, 이경은, 이나영, 이범준, 이아현, 이혜원, 이화지, 임태현, 정유선, 정진이, 정현영, 조미나, 차성미, 최정화, 현성원
전문연구원
강혜승, 김수연, 김영신, 김혜영, 유수인, 이정진, 장성희, 장윤정, 조유선, 주세영, 최은희